VJBOD(가상 JBOD)를 사용해 여러 QNAP NAS의 스토리지 용량을 공유하는 방법
1. 소개
가상 JBOD를 통해 QNAP NAS의 여유 공간을 다른 NAS에 할당하여 사용 가능한 총 스토리지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VJBOD를 사용하면 NAS 스토리지 확장에 물리적인 제한을 받지 않으며 확장 인클로저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유연한 네트워크 전송을 통해 백업 연결과 함께 1/10/40GbE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모든 NAS를 최대 효율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초급 NAS를 사용해 더 고급 모델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VJBOD
|
JBOD
|
|
---|---|---|
연결
|
이더넷(1/10/40GbE) | USB 3.2 Gen 1 또는 SAS 6/12Gb |
개수
|
가상 JBOD 디스크 8개 | NAS 모델에 따라 다름 |
체인
|
해당 없음 | SAS JBOD용 데이지 체인 |
백업 연결
|
포트 트렁킹 | 없음 |
사용 시나리오
|
공간을 초과한 여러 NAS를 사용 가능한 경우. VJBOD는 현재 로컬 스토리지 풀의 직접 확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로컬 스토리지의 빠른 직접 확장이 필요한 경우. |
*가상 JBOD 디스크는 현재 로컬 스토리지 풀 확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2. 시스템 요구 사항
2.1. 하드웨어
VJBOD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지원하는 모델: https://www.qnap.com/solution/vjbod 및 펌웨어 4.2.2(이상) 필요합니다. iSCSI 및 스토리지 풀을 지원하는 모든 QNAP NAS를 원격 NAS로 사용할 수 있지만, 펌웨어 4.2(이상)를 사용하며 사용 가능 공간이 최소한 154GB 이상인 것을 권장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 및 향후 지원 모델은 QNAP 웹사이트 및 각 제품의 자세한 소프트웨어 사양을 참조하십시오.
2.2. 네트워크 요구 사항
두 NAS 모두 식별이 가능해야 하며 서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연결 안정성을 높이고 연결 오류에서 자동으로 복원하기 위해 원격 및 로컬 NAS가 동일한 로컬 네트워크에 있으며 원격 NAS가 고정 IP 주소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원격 NAS에 모든 이더넷 포트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원격 NAS를 위해 포트 트렁킹을 활성화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로써 보안 연결이 가능하며 포트 고장 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손실을 막을 수 있습니다.


*정상 스위치를 통해 연결하는 경우, Balance-rr(라운드 로빈) 또는 활성 백업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링크 집계를 지원하는 스위치의 경우, 802.3ad를 사용해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습니다.
*포트 트렁킹은 현재 네트워크 및 가상 스위치의 한계로 직접 연결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2.3. SSD 캐시
가상 JBOD 스토리지 풀의 임의 읽기 및 쓰기 성능은 기기 간 데이터 전송 과정 때문에 호스트 NAS의 스토리지 풀과 비교해 20~30% 감소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사용 패턴으로 순차적 읽기 및 쓰기 액세스로 주로 파일을 공유하는 경우 가상 JBOD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기타 사용의 경우, 호스트 NAS에 SSD 캐시를 사용하여 가상 JBOD의 스토리지 풀 성능을 향상시킬 것을 권장합니다.
SSD 캐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www.qnap.com/solution/ssd-cache/kr/index.php 를 참조하여 주십시오.

3. VJBOD 사용하기
3.1. VJBOD의 디스크 생성 마법사 사용하기
이 예에서는 TVS-882와 TS-87을 사용합니다. TVS-882를 사용하는 경우 "Storage Manager(스토리지 관리자)" > "Disks(디스크)"로 이동하여 상단 왼쪽 모서리의 "Virtual JBOD(가상 JBOD)", "Create Virtual JBOD(가상 JBOD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마법사의 두 번째 단계에서 원격 NAS의 IP 주소를 직접 입력하거나 주소를 자동으로 탐지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Local Host(로컬 호스트)"라는 옵션을 통해 기존 iSCSI LUN을 호스트에 장착하여 가상 JBOD 디스크로 사용할 때 그 데이터를 검색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다음 새로운 가상 JBOD 디스크를 생성할 원격 NAS 스토리지 풀을 선택하거나(블록 레벨 iSCSI LUN) 기존 iSCSI LUN을 선택하고 이것을 디스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씬-프로비저닝된 iSCSI LUN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새로운 가상 JBOD 디스크를 생성할 때는 상단 우측 모서리에 있는 "NAS Detail(NAS 세부 정보)"을 클릭하여 NAS의 스토리지 상태를 확인합니다. 호스트 바인딩은 TVS-882만이 가상 JBOD 디스크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함으로써 데이터 보안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음 단계에서 CHAP 보호와 함께 iSCSI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두 옵션 모두 디스크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원격 NAS의 펌웨어가 4.2.2(이상)인 경우 원격 NAS의 관리자 비밀번호를 변경하면 새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까지 가상 JBOD의 연결이 해제됩니다.


새 디스크를 생성하는 경우 얼마만큼의 공간을 사용할지 물어보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이 마법사를 완료하면 VJBOD 디스크 사용 방법과 몇 가지 제안 조치에 대한 지침을 받습니다. 새 스토리지 풀 또는 볼륨을 생성하면 스토리지 폴 또는 볼륨 생성 마법사로 이동하는 반면, 기존 데이터 복구는 연결된 가상 JBOD 디스크를 스캔하여 그 데이터를 검색합니다. 필요한 경우 QTS Help(QTS 도움말)에서 이 지침에 액세스할 수도 있습니다.


Do Nothing(사용 안 함)을 선택하면 "Create(만들기)" > "New Storage Pool(새 스토리지 풀)" 또는 "New Volume(새 볼륨)"을 선택함으로써 이제 "Storage Space(스토리지 공간)" 탭에서 새로운 가상 JBOD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 사용 방법은 실제 디스크와 다르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제한이 있습니다.
VJBOD는 현재 "단일" RAID 구성만을 지원하며 풀이 동일한 원격 NAS와 동일한 풀에서 비롯된 가상 JBOD 디스크로 구성되지 않는 한 시스템 볼륨을 생성하거나 다른 스토리지 풀을 확장하는 데 사용될 수 없습니다. 원격 NAS에서 LUN의 크기 확장은 가상 JBOD 디스크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가상 JBOD 풀을 확장하려면 동일한 스토리지 풀에서 새로운 가상 JBOD 디스크를 생성하고 이 디스크를 새 RAID로 풀에 조인하여야만 가능합니다.



4. VJBOD 관리
4.1. VJBOD 모니터링
추가적인 도구 없이 가상 JBOD 연결 상태 또는 원격 NAS의 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는 몇 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먼저 "Disks(디스크)"에서 가상 JBOD 디스크를 선택하고 "Action(작업)"을 클릭하여 원격 NAS의 세부 정보 또는 가상 JBOD 디스크가 위치한 스토리지 풀 로그를 확인합니다. 이를 통해 가상 JBOD 디스크가 비정상이 되면 원격 풀로 문제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지 관리자의 우측 상단에 있는 가상 JBOD 개요 아이콘을 클릭하면 모든 가상 JBOD의 연결 및 일반 상황, 모든 원격 NAS의 디스크 구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격 NAS의 펌웨어가 4.2.2(이상)인 경우 스토리지 관리자의 새 iSCSI 스토리지 UI를 사용해 iSCSI LUN에 연결된 NAS를 모니터할 뿐만 아니라 iSCSI 연결이 해제된 경우 경고를 수신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 NAS에 대해 더 자세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 Q'center를 사용해 호스트 및 원격 NAS를 모두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Q'center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조하십시오 http://www.qnap.com/solution/qcenter/index.php?lang=kr


4.2. VJBOD 연결 해제/전송
모든 가상 JBOD 디스크가 스토리지 관리자의 "Disks(디스크)"에 나열되며, 가상 JBOD 디스크의 조건이 다르면 다른 작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새로 생성된 가상 JBOD 디스크와 사용 가능한 가상 JBOD 디스크의 경우, “New Volume(새 볼륨)”을 클릭하거나 디스크 이름을 편집하거나 가상 JBOD 디스크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가상 볼륨이나 스토리지 풀을 생성하기 위해 디스크를 사용한 경우, 디스크가 비정상 상태이거나 “Storage Space(스토리지 공간)" 탭에서 "Safely Detach(안전 분리)"를 선택하지 않는 이상 디스크의 연결을 직접 해제할 수 없습니다. 가상 JBOD 디스크의 연결을 해제하더라도 해당 디스크가 즉시 "Disk(디스크)"에서 사라지지 않습니다. 대신 "Disconnected(연결 끊김)" 상태에 돌입합니다. 연결 해제된 가상 JBOD 디스크만을 목록에서 제거할 수 있으며 또는 다시 연결하도록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상 JBOD 디스크를 사용해 데이터 로밍을 실행함으로써, 드라이브를 물리적으로 연결 해제하고 다시 연결할 필요 없이 한 NAS에서 다른 NAS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먼저 가상 JBOD 디스크를 "Safely Detach(안전 분리)"한 다음 데이터를 이동시키려는 NAS로 이동하여 가상 JBOD 마법사를 엽니다. 그리고 원격 NAS에서 기존 iSCSI LUN을 선택하여 가상 JBOD 디스크 안에 데이터를 장착합니다.





4.3. 오류 처리
가상 JBOD iSCSI 연결 기능은 자동 재연결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시스템이 30초 이내에 가상 JBOD 디스크의 스토리지 풀에 액세스할 수 없는 경우, 스토리지 풀 오류 보호 메커니즘이 작동하여 연결 해제된 가상 JBOD 디스크로 추가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이 경우 시스템이 디스크를 자동으로 다시 연결하려고 시도합니다. 이 자동 재연결 메커니즘은 원격 NAS가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작동합니다. 원격 NAS의 IP 주소가 변경되면 연결 해제된 가상 JBOD 디스크를 선택하고 "Action(작업)"을 클릭한 다음 "Edit the Target(대상 편집)"을 선택하여 새 IP 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원격 NAS의 웹 관리 포트 개수가 변경되는 경우 스토리지 공간은 여전히 사용할 수 있지만 일부 NAS 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Disk(디스크)"에서 해당 디스크를 선택하고 "Action(작업)"> "Re-login(다시 로그인)"을 선택하여 새 정보를 입력합니다. 가상 JBOD 디스크의 연결이 해제되었을 때 원격 NAS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경우 새 관리자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